金红莲

2024-09-06 545
分类:学院教师简介
 

研究生导师个人简历

姓名

金红莲

性别

籍贯

吉林汪清县

民族

朝鲜族

出生年月

1976年9月

所在单位

广西师范大学外国语学院

联系方式

地址

广西壮族自治区桂林市育才路15号(541004)

电话

+86-19997931850

邮箱

jin_honglian@qq.com

 一、教育背景

201803—201902 韩国外国语大学访问学者

200209—200507 延边大学朝鲜-韩国学学院亚非语言文学专业语言学博士

199909—200207 延边大学朝鲜-韩国学学院亚非语言文学专业硕士

199509—199807 延边大学师范学院朝鲜语言文学师范专业

二、行政职务与专技职称

202010—至今   广西师范大学外国语学院朝鲜语系系主任

202009—至今   广西师范大学外国语学院外国语言文学研究生导师

202009—至今   广西师范大学外国语学院朝鲜语MTI研究生导师

200508—202007 天津师范大学外国语学院朝鲜语系

201109—202007 天津师范大学外国语学院硕士生导师

200911—至今   天津师范大学外国语学院副教授

200703—200812 天津师范大学外国语学院朝鲜语系系主任

200509—200911 天津师范大学外国语学院讲师

三、学术兼职

(一)期刊评审

Bilingual Research 临时审稿人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临时审稿人

(二)学术任职

202201—至今   广西师范大学外国语学院学术委员会委员

四、研究兴趣与教授课程

(一)主要研究兴趣

中韩语言对比、中韩互译研究 

(二)教授课程

本科生:《基础韩国语(Ⅰ、Ⅱ)》《高级韩国语》等;

研究生:《应用语言学与韩国语研究》《应用翻译(1、2)》《毕业论文写作指导》《朝鲜语发达史》《朝鲜语认知语言学》等。

五、主要科研成果或学术交流

(一)期刊论文

金红莲(待刊),语言接触视域下近代汉语对周边国家的影响研究

金红莲(2020),语言学专业术语翻译的标准化原则和翻译方法,《中韩语言文化研究》第18辑

金红莲(2017),认知隐喻视角下的韩国语多义词的中文翻译,《中韩语言文化研究》第12辑

金红莲(2016),认知隐喻视角下的中韩非文学翻译研究,《中韩语言文化研究》第10辑

金红莲(2014),MOOC 和高级阶段韩国语教学法的展望,《中韩语言文化研究》第8辑

金红莲(2014),中译本小说<鲸>中揣测意志表达方式的翻译研究, 《东方学术论坛》第2期

金红莲(2012), 基于合作学习方法的高级韩国语教育方案研究,《中韩语言文学研究》第6辑

金红莲(2010),浅谈韩国语写作的教育方法,《中韩语言文化研究》第4辑

金红莲(2009),中国朝鲜语吸收汉源汉字词的社会原因,《东方学术论坛》第2期

(二)译著或参编

金红莲(即将出版),《儒家的境界 内圣外王》,哈尔滨:黑龙江朝鲜民族出版社

金红莲等(2021),《对比语言学(中文版)》,北京: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张英美、姜宝有、金红莲等(2024),《中国朝鲜语教育论》,北京: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三)教材

金红莲、辛博(2022),《情景韩国语会话(医院篇)》,哈尔滨:黑龙江朝鲜民族出版社

金红莲等,副主编(2020),《朝鲜语韩国语笔译教材(三级)》,北京:新世界出版社

金红莲等, 主编(2014),《新编高级韩国语(上、下)》,北京:北京大学出版社

(四)学术会议报告

金红莲(2023),中国国内基于网络媒体的韩国语教育现状和未来,国际韩国语言文化学会国际学术会,日本:2023年6月10日。

金红莲(2022),中国韩国语教育中跨学科融合培养的现状及未来,韩国双重语言学会年会,韩国首尔:2022年11月12日。

金红莲(2021),中国韩国语教育的现状及未来(主旨发言),越南韩国语教育学会国际学术会议,越南河内:2021年11月5日。

金红莲(2021),后疫情时代针对中国学习者的基础韩国语O2O教学学习模式研究,中国韩国(朝鲜)语教育研究学会国际学术大会,青岛:2021年7月7日。

金红莲(2020),中国韩国语教育多媒体应用的现状和未来发展趋势,首届世界韩国语大会,韩国首尔:2020年12月21日。

 六、主持或承担科研项目

202306-至今 新文科背景下地方高校小语种跨学科人才培养模式的改革与研究,广西高等教育本科教学改革工程项目(主持,项目批准号2023JGB142)。

202207-至今 大均衡:进城与返乡的历史性判断与制度思考,广西师范大学中华学术外译培育项目(主持,项目批准号WYPYY202205)

202211-至今 《基础韩国语(Ⅰ、Ⅱ)》自治区级一流课程(课程负责人)。

202211-至今 《基础韩国语1》教材建设立项项目,广西师范大学(负责人)。

202111-202406   O2O教学模式下广西高校《基础韩国语》“金课”建设研究与实践,广西师范大学教育教学改革与研究项目重点项目(主持,项目批准号2021JGZ012)

七、获奖与荣誉

202310 广西师范大学第十一届高等教育(本科)教学成果奖二等奖(排二)

202206 广西师范大学教材优秀奖《对比语言学》

202206 全国韩语演讲比赛优秀指导奖

2019年至2022年 连续三年获得广西师范大学本科课堂教学优秀奖



대학원생 지도교수 이력서

성명

김홍련

성별

고향

길림성 왕청현

민족

조선족

출생년월

1976년 9월

소속

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연락처

주소

광서장족자치구 계림시 육재로 15번지(541004)

전화

+86-19997931850

이메일

jin_honglian@qq.com

 

 1. 교육과정

201803—201902 한국외국어대학교 방문학자

200209—200507 연변대학교 조선-한국학대학 아시아-아프리카 언어문학전공 언어학박사

199909—200207 연변대학교 조선-한국학대학 아시아-아프리카 언어문학전공 언어학석사

199509—199807 연변대학교 사범대학 조선언어문학사범 전공

2. 행정직무 및 직함

202010—현재  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학과장

202009—현재  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외국언어문학전공 지도교수

202009—현재  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조선어MTI 지도교수

200508—202007 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재임

201109—202007 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석사생 지도교수

200911—현재   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부교수

200703—200812 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학과장

200509—200911 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강사

3. 학술 겸직

(1) 학술지 심사위원

『이중언어학(한국 KCI)』    논문심사위원

『한국언어문화학(한국KCI)』    논문심사위원

(2) 직무

202201—현재   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 학술위원회 위원

4. 연구분야 및 강의 교과목

(1) 연구분야

중한 언어대조연구, 중한 번역연구

(2) 강의 교과목

학부 강의: 《기초한국어(Ⅰ、Ⅱ)》,《고급한국어》등

대학원 강의:《응용언어학과 한국어연구》, 《비문학번역(1、2)》, 《졸업논문쓰기지도(MTI)》, 《조선어발달사》, 《조선어 인지언어학》등

5.주요 연구성과 및 학술 교류

(1) 학술지 논문

김홍련(예정),언어접촉과 주변국가에 대한 근대중국어의 영향

김홍련(2020),언어학 전문술어 번역의 표준화원칙과 번역방법,《중한언어문화연구》18집

김홍련(2017),인지은유의 시각에서 본 한국어 다의어의 중국어번역,《중한언어문화연구》12집

김홍련(2016),인지은유의 시각에서 본 중한 비문학번역 연구,《중한언어문화연구》10집

김홍련(2014),MOOC와 고급단계 한국어 교수법의 전망,《중한언어문화연구》12집

김홍련(2014),중역본 소설 <鲸>에서 나타난 추측의지 표현방식의 번역연구,《동방학술논단》

김홍련(2012), 협동학습방법에 의한 고급한국어 교육방안 연구,《중한언어문화연구》6집

김홍련(2010),한국어쓰기의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중한언어문화연구》4집

김홍련(2009),중국조선어에서의  한어기원 한자어 수용의 사회적원인,《동방학술논단》

(2)역서와 공저

김홍련(2024예정),《유강의 경지--내적 성현과 외적 구현》,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김홍련 등 공저(2021),《대조언어학(중역본)》,외국교수와연구출판사

장영미, 강보유, 김홍련 등 공정(2024),《중국 조선어 교육론》,외국교수와연구출판사

(3) 교재

김홍련, 신박(2022),《배경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회화(병원)》,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김홍련 등 공저, 부주필(2020),《조선어/한국어 번역교재(3급)》,신세계출판사

김홍련 등 공저, 주필(2014),《신편고급한국어(상, 하)》,북경대학출판사

 

(4)학술활동 참여

김홍련(2023),중국 국내에서 온라인매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미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학술회의, 일본, 2023년 6월 10일

김홍련(2022),중국 한국어교육에서의 학제간 융합 양성의 현황과 미래, 한국이중언어학회연례대회,한국 서울, 2022년 11월 12일

김홍련(2021),중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미래(주제발표),베트남한국어교육학회국제학술대회,베트남 하노이, 2021년 11월 5일

김홍련(2021),포스트 코로나시대 중국 학습자를 위한 기초한국어의 O2O교수와 학습 모형 연구,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 중국 청도,  2021년 7월 7일

김홍련(2020),중국한국어교육에서 온라인매체의 활용에 관한 현황과 미래의 발전 추세, 제1회세계한국어대회, 한국 서울, 2020년 12월 21일

6. 프로젝트 연구성과

202306-현재 신문과 배경하의 지방대학교 소어종전공의 학제간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개혁과 연구, 광서고등교육본과교학개혁프로젝트, (담당자,프로젝트번호 2023JGB142)。

202207-현재  《중국의 도시진출과 귀향의 균형적발전》, 광서사범대학교중화외역프로젝트(담당자,프로젝트번호WYPYY202205)

202211-현재 《기초한국어(Ⅰ、Ⅱ)》성급일류교과목(책임자)。

202211-현재 《기초한국어1》교재프로젝트,광서사범대학교 프로젝트(책임자)。

202111-202406   O2O이론에 의한 광서지역 대학교 <기초한국어> 교과목 구축과 연구및 실천,광서사범대학교교육교학개혁 중점 프로젝트(담당자,프로젝트번호2021JGZ012)

7. 영예

202310 광서사범대학교 제11회 고등교육(학부)교학성과상 2등상

202206 광서사범대학교교재 우수상 《대조언어학》

202206 전국한국어말하기대회 우수지도상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속 3년 광서사범대학교 본과현장교육 우수상